2015. 1. 22. 22:29


미아 방지용 제품이 끊임없이 많이 출시되었지만 딱히 실효성을 거두고 있거나 가격적 측면에서 효과적인 제품을 찾기는 쉽지 않다. 인디고고에서 펀딩에 성공한 팔찌 형태의 비콘 제품이 $5(5,000원)이라는 갑싼 가격에 출시를 앞두고 있어 소개를 할까 한다.

비콘 기술을 이용하여 제작된 이 팔찌는 아이가 소지하게 되면 끊임없이 신호를 보내게 된다.  이 신호를 부모의 폰이 감지를 하게 되고 일정 거리를 설정하면 설정된 거리보다 아이의 위치가 멀어진다면 스마트폰 앱으로 이 사실을 알려주게 된다.  하지만 비콘의 신호는 이론적으로 70m까지만 전달이 된다. 또한 방향을 감지할 수는 없다.  따라서 한계 영역을 벗어나게 되면 부모가 아이를 찾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충분히 많은 사용자가 사용을 하게 되어야 일정 범위를 벗어난 잃어버린 아이가 다른 이용자들의 주위를 지나갈 때 이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놀이동산과 같이 폐쇄적인 공간에 네트웍이 가능한 스캐너를 촘촘히 배치를 하여 위치를 검색할 수 있다면 효과적일 것이다.

저렴한 가격에 아이의 위치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제품을 판매할 수 있으며 여러 기업들과의 프로모션을 통해서 무료로 배포할 수도 있을 것이며 넓은 공간의 놀이동산이나 번잡한 도로에 업체나 정부가 스캐너를 설치할 수도 있다.

문제는 개인 프라이버시다. 내 아이의 위치 뿐 아니라 나의 위치도 철저히 모니터링 당할 수 있다.

아이가 부모로 부터 일정영역을 벗어났을 때 그 주변에 있는 사용자들에게 그 아이의 정보(비콘-UUID/Major/Minor, 사진 등)가 전달된다.  또한, 내 주변에 있는 사용자를 서버가 인지할 수 있다는 것은 나와 다른 부모들의 위치가 모니터링 되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폰번호만을 중심으로 서비스가 이루어진다고는 하지만 썩 유쾌한 일이라고는 생각할 수 없다.

사용자가 충분하지 않거나 스캐너가 충분히 설치되어 있는 공간이 아니라면 시야에서 벗어난 아이를 찾는 것은 불가능하다. 

고가의 다양한 기능이 들어가 있는 LG Kizon의 경우 GPS와 WiFi 기능을 사용하며 2G/3G 통화까지 지원한다. 하지만 GPS가 동작하지 않는 공간에서 활용성이 떨어지며 여러가지 기능을 지원하는 하드웨어로 인해 가격이 높은 편이다.  또한 36시간 대기시간을 지원원한다. 하지만 Lineable은 충전없이 1년을 사용이 가능하다.

분명 장단점이 있으며 상품성을 갖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된다.

플랫폼과 에코 시스템을 이해하지 못한 접근

많은 기업들이 자사의 앱을 홍보하기 위하여 많은 비용을 지불한다.  하지만 사용자들에게 앱을 설치하도록 강요(?)하는 일은 쉽지가 않다.  돈을 줘도 불필요한 앱의 설치를 거절하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아이를 위한 앱에 문턱은 낮은 편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이 끝이 아니다. 모든 것을 독점하려는 접근은 아무것도 갖을 수 없을 것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시럽이 그렇듯~


내가 만나본 리니어블의 성공가능성은 70점 정도이다.


Posted by 모바일헌터
2014. 9. 24. 17:10

위치기반으로 폰사용 프로파일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주는 타이젠 어플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iOS와 Android로도 제작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git 저장소: https://github.com/mobilehunter/passion

in-door에서는 비콘을 이용하여 좀 더 정밀한 지원을 할 예정입니다.


Posted by 모바일헌터
2014. 9. 14. 23:26

몇 년 사이에 현대인의 필수품이 되어버린 스마트폰, 이 스마트폰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곳은 야외가 아니라 건물안이 대부분일 것이다. 하지만 건물안에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한 위치기반서비스를 받기가 불가능하며 때론 전화망이 안되는 곳도 있다. 이러한 건물안(in-door)에서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요즈음 비콘(Beacon)이 지속적으로 거론 된고 있다.

가능성은 무긍무진하여 여러 곳에서 논의는 되고 있지만 정작 폭발력은 아직 약한 모습이다.

비콘은 무엇일까? 작은 등대
고정된 위치에서 자신의 존재에 대해서 주변의 모든 스마트폰에게 메시지를 전송하는 작은 디바이스.
※1. 비콘이 고정된 위치(벽), 혹은 사람이 들고 움직이는 것은 어쩔 수 없겠죠. 
※2. 주변이라고 함은 이론적으로 230피트(70m)까지이다.
3. 페어링(Pairing)없이 UUID를 주변에 무작의로 전송(Broadcast)한다
이 등내는 아래와 같이 동전 모양의 베터리로 최고 2년까지 동작이 가능하다고 한다.
단 시그널의 강도와 얼마나 자주 메시지를 전공하느냐에 따라서 배터리 수명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Estimote는 비콘을 작은 컴퓨터라고 칭한다.  기술적으로 Estimote의 Beacon은 작은 컴퓨터가 맞을지도 모른다. 256KB 플래시 메모리와 32-bit ARM Cortex M0 CPU를 사용하며 가속도와 온도측정 센서도 탑재하고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블루투스 4.0 (BLE-Bluetooth Low Energy)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여러분들이 갖고 계시는 iPhone으로 주변의 BLE device를 검색해보세요. (BLExplr app)

자, 그럼 건물안의 작은 등대를 이용하여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지 이야기해봅시다.

우선, 여러분이 비콘으로 받은 ID와 비콘까지의 거리를 이용하여 여러분이 위치한 위치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1. 등대가 뿌려주는 UUID를 수신 받을 어플을 실행하고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특정 지역에서 특정 앱을 실행하라고 알려주는 시스템을 이용하라는군요. (Geofencing) 그런데 이 기능은 GPS를 이용하기 때문에 건물 안에서는 정상 동작하지않는 다는 점이죠.
※2. 비콘까지의 거리를 측정해야 하는데 이게 안타깝게도 블루투스 표준에는 아직 없어서 알아서 수신 시그널의 강도를 바탕으로 계산을 해야 한다는 것이죠.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종합하자면, 전기를 사용하여 페어링(Pairing)이 된 디바이스 끼리도 사이에 물체가 있다면 10~20m 시그널을 보내기가 힘든 블루투스를 시스템을 이용해서 동전만한 베터리로 등대를 만들어 각 등대를 인식할 수 있는 어플을 적절히 설치하고 실행한 사람들을 위해서 서비스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자!!

하지만, 우리의 스마트폰이 수신만 가능 한 것이 아니라 송신도 가능하여 등대가 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저는 이점이 더 매력적으로 다가옵니다.  만약, 우리가 특정지역에서 알맞는 어플을 실행해야 한다면 그것은 굉장히 귀찮은 일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움직이는 등대가 되어 특정지역에 들어갔을 때 누군가 우리에게 특정 어플을 실행하거나 없으면 받으라고 이야기해줄 수 있다면 어떨까요?  그리고 그 등대의 UUID는 사생활 보호를 위해서 항상 변경이 가능하고요. 

2014년 초부터 비콘을 이용한 건물안 서비스에 대해서 고민 중인데 아직 해답을 찾기가 힘드네요. 

비콘이 여러군데 설치가 되고 관련 어플들이 많이 생기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뭔가 폭발적인 인기를 얻기에는 2%가 아니라 80% 부족해 보입니다.

'IT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iOS8으로 업그레이드!  (0) 2014.09.19
애플의 HealthKit이 의사가 필요하다?  (0) 2014.09.19
모바일 시장의 변화 (Pay)  (0) 2014.09.14
Intel® Edison  (0) 2014.09.14
iTunes Connect에 새로운 기능들  (0) 2014.09.12
Posted by 모바일헌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