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5. 4. 17:19

교육자료 다운로드


1. JDK ver 1.7이상 필요

JDK ver 1.7이상이 설치가 되어 있어야 하므로 설치가 되어 있지 않다면 Oracle Download 사이트에서 Java Platform(JDK)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기 바랍니다.


2. Windows는 통합 개발환경을 제공 중

개발자용 개발환경 Windows 개발환경은 표준프레임워크 포털에 접속하여 계정을 만들고 다운로드를 할 수 있다.

현재(2016년 5월 4일) 최신 버전은 3.5.1이다.


표준프레임워크 포털 > 다운로드 > 개발환경 > 3.x 다운로드 > 개발자용 개발환경 32/64bit (Implementation Tool) Ver 3.5.1


개발환경을 구성할 디렉토리에서 eGovFrameDev-3.5.1-xxbit.exe 파일을 실행하여 압축을 해제하고 eclipse를 실행하면 개발환경 필수 요소와 선택요소가 모두 설치되어 있는 개발환경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Windows 이외의 운영체제 (혹은 Windows에서 직접 개발환경 설정)

그런데 윈도우 이외의 운영체제에서 개발을 원하시거나 윈도우에서도 Eclipse를 다운로드 받으시고 필수 요소와 선택 요소 중 필요한 것만 설치를 해서 사용하시고 싶으시다면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3.1 Eclipse Download Site를 방문하시어 "Eclipse IDE for Java EE Developers"를 다운로드 받으세요.

3.2 다운로드 받으신 Eclipse압축 파일을 적당한 위치에 풀어주세요.

3.3 Eclipse 실행

3.4 Spring IDE 설치 

- Help 메뉴 선택 > Install New Software... 메뉴 선택 > "Add" 버튼 클릭

- Name: Spring Core
  Location: http://dist.springframework.org/release/IDE
  를 입력하고 "OK" 버튼 클릭

- "Available Software" 화면에서 Core / Spring IDE를 선택 > "Next" 버튼 클릭

- "Install Detail" 화면에서 Sprint IDE Core (required)를 확인 > "Next" 버튼 클릭

- "Review Licenses" 화면에서 약관에 동의 "I accept the terms of the license agreement"를 선택 > "Finish" 버튼 클릭 

- 설치가 완료되면 재시작을 해준다. 

(You will need to restart Eclipse for the changes to take effect. Would you like to restart now?
Yes를 클릭해서 재시작을 해준다.)


3.5 UML2 Extension과 Subversive SVN Connector 설치

- Help 메뉴 선택 > Install New Software... 메뉴 선택 > "Add" 버튼 클릭


- Name: UML2 Extension & Subversive SVN Connector
  Location: http://download.eclipse.org/releases/luna
  를 입력하고 "OK" 버튼 클릭

>> 2020/12/7 기준 http://download.eclipse.org/releases/2020-12


- "Available Software" 화면에서 Collaboration의 하부에서 Subversive SVN Team Provider를 선택하고 

   Modeling의 하부에서 UML2 Extender SDK를 선택 > "Next" 버튼 클릭


- "Install Detail" 화면에서 설치될 아이템들을 확인 > "Next" 버튼 클릭

- "Review Licenses" 화면에서 약관에 동의 "I accept the terms of the license agreement"를 선택 > "Finish" 버튼 클릭 

- 설치가 완료되면 재시작을 해준다. 

(You will need to restart Eclipse for the changes to take effect. Would you like to restart now? 
Yes를 클릭해서 재시작을 해준다.)

- Help 메뉴 선택 > Install New Software... 메뉴 선택 > "Add" 버튼 클릭

- Name: Subversive SVN Connector
  Location: http://community.polarion.com/projects/subversive/download/eclipse/4.0/update-site/
  를 입력하고 "OK" 버튼 클릭

- "Available Software" 화면에서 Subversive SVN Connectors 하부에서 Subversive SVN Connectors와 SVNKit 1.8.7 Implementation (Optional)을 선택 > "Next" 버튼 클릭

- "Install Detail" 화면에서 설치될 아이템들을 확인 > "Next" 버튼 클릭

- "Review Licenses" 화면에서 약관에 동의 "I accept the terms of the license agreement"를 선택 > "Finish" 버튼 클릭 

- unsigned content가 포함되어 있다고 경고창이 뜨지만 OK버튼을 누르고 계속 진행하면 된다.

- 설치가 완료되면 재시작을 해준다. 


3.6 eGovFrame 플러그인 설치

- Help 메뉴 선택 > Install New Software... 메뉴 선택 > "Add" 버튼 클릭

- Name: eGovFrame Plugin

  Location: http://maven.egovframe.kr:8080/update/

  를 입력하고 "OK" 버튼 클릭

- "Available Software" 화면에서 eGovframe을 선택 > "Next" 버튼 클릭

- "Install Detail" 화면에서 Plugin들을 확인 > "Next" 버튼 클릭

- "Review Licenses" 화면에서 약관에 동의 "I accept the terms of the license agreement"를 선택 > "Finish" 버튼 클릭 

- unsigned content가 포함되어 있다고 경고창이 뜨지만 OK버튼을 누르고 계속 진행하면 된다.

- 설치가 완료되면 재시작을 해준다. 

(You will need to restart Eclipse for the changes to take effect. Would you like to restart now? 
Yes를 클릭해서 재시작을 해준다.)


설치가 완료되셨다면... 메뉴에 eGovFrame을 추가해보세요.

Window > Perspective > Open Perspective > Other... > eGovFrame을 선택하세요.

이제 메뉴에서 eGovFrame이 보이시나요? ^^


[eclipse.ini의 설정]

openFile

-vm

C:\Program Files\Java\jdk1.8.0_92\bin\javaw.exe

--launcher.appendVmargs

-vmargs

-Dosgi.requiredJavaVersion=1.7

-Xms256m

-Xmx1024m

-Dfile.encoding=utf-8

Posted by 모바일헌터
2016. 1. 18. 21:58

tomcat 8을 OSX에 설치하자


맥에 Eclipse 개발환경 설정하기

1. Eclipse 다운로드

[Eclipse 다운로드 사이트] 에서 "Eclipse IDE for Java EE Developers” package를 다운로드 받으세요.


2. Apache Tomcat 다운로드

[Apache Tomcat 사이트] 에서 안전한 버전을 다운로드 받아서 적절한 위치에 압축을 해제한다.

Download > Binary Distributions > Core > tar.gz


3. Java설치하기

Oracle의 Java를 사용하시려면 다음을 참조하여 JAVA를 설치해주세요.

OSX에 JDK를 설치하고 환경설정하기


4. eclipse 와 tomcat 설치

Eclipse는 특별하게 설치를 할 필요는 없으며 압축을 풀어 적당한 위치에 옮겨 놓으면 됩니다.

$ tar xvfz eclipse-jee-luna-SR1-macosx-cocoa-x86_64.tar.gz

$ mv eclipse ~/Applications/eclipse


Tomcat은 압출을 풀어서 /usr/local아래에 이동하고 /Library/Tomcat에 심볼릭 링크를 생성하고 모든 스크립트를 실행가능하도록 만들자.

$ tar xvfz apache-tomcat-8.0.30.tar.gz

$ sudo mkdir -p /usr/local

$ sudo mv ~/Downloads/apache-tomcat-8.0.30 /usr/local

$ sudo rm -f /Library/Tomcat         (기존 링크가 있다면 제거하자)

$ sudo ln -s /usr/local/apache-tomcat-8.0.30 /Library/Tomcat

$ sudo chown -R <사용자계정> /Library/Tomcat

$ sudo chmod +x /Library/Tomcat/bin/*.sh


5. Tomcat을 실행하고 종료해보자

$ /Library/Tomcat/bin/startup.sh

Using CATALINA_BASE:   /Library/Tomcat

Using CATALINA_HOME:   /Library/Tomcat

Using CATALINA_TMPDIR: /Library/Tomcat/temp

Using JRE_HOME:        /Library/Java/JavaVirtualMachines/jdk1.8.0_66.jdk/Contents/Home

Using CLASSPATH:       /Library/Tomcat/bin/bootstrap.jar:/Library/Tomcat/bin/tomcat-juli.jar

Tomcat started.

http://localhost:8080 에 접속해보자!!!

$ /Library/Tomcat/bin/shutdown.sh

Using CATALINA_BASE:   /Library/Tomcat

Using CATALINA_HOME:   /Library/Tomcat

Using CATALINA_TMPDIR: /Library/Tomcat/temp

Using JRE_HOME:        /Library/Java/JavaVirtualMachines/jdk1.8.0_66.jdk/Contents/Home

Using CLASSPATH:       /Library/Tomcat/bin/bootstrap.jar:/Library/Tomcat/bin/tomcat-juli.jar


6. eclipse를 실행하시고 tomcat 서버를 등록하자

Eclipse메뉴에서 Preferences를 실행(⌘ + ,)하고 Server에 Runtime Environments를 선택하여 tomcat 서버를 등록하자.

[Add..] 버튼을 누르고 Tomcat의 버전을 선택(8.0)하고 “Next >” 버튼을 클릭하자.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 Tomcat의 위치(/usr/local/apache-tomcat-8.0.30)를 선택하고

Java(JRE)의 버전도 선택을 해주자.

Finish 버튼을 클릭하자.

자~! 이제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Posted by 모바일헌터
2016. 1. 18. 21:06

[Java Standard Edition의 다운로드]로 이동하여 를 클릭하거나

혹은, 다음의 링크에서 “Java SE Development Kit 8u66”를 다운로드 하자.

http://www.oracle.com/technetwork/java/javase/downloads/jdk8-downloads-2133151.html


물론, 라이센스에 동의를 하고 사용중인 OS를 선택하여 설치를 한 후, JAVA_HOME을 설정하기 위하여 "~/.bash_profile" 파일에 다음의 내용을 추가하자


export JAVA_HOME=$(/usr/libexec/java_home)

또는

export JAVA_HOME="$(/System/Library/Frameworks/JavaVM.framework/Versions/Current/Commands/java_home)"



Posted by 모바일헌터
2015. 3. 7. 20:07

Avast를 설치하신 상태에서 Adobe Reader를 설치하시면 22%에서 다운로드가 더 이상 진행되지 않는군요.

Avast를 정지한 상태에서만 다운로드가 진행이되어 정상적으로 설치가 완료됩니다.

Posted by 모바일헌터
2015. 1. 28. 19:33



OS X 업데이트 10.10.2 - 재시동이 필요함

  • Wi-Fi 연결이 끊어지는 문제 해결
  • 웹 페이지가 느리게 로드되는 문제 해결
  • Mail에서 메시지의 원격 콘텐츠 로드를 비활성화한 경우에도 Spotlight가 원격 이메일 콘텐츠를 로드하는 문제 수정
  • Bluetooth 헤드폰을 사용할 때 오디오 및 비디오 동기화 향상
  • Time Machine에서 iCloud Drive 탐색 기능 추가
  • VoiceOver 말하기 성능 향상
  • 웹 페이지에서 텍스트를 입력할 때 VoiceOver가 문자를 반복해서 말하는 문제 해결
  • 입력기가 예기치 안게 언어를 변경하는 문제 해결
  • Safari의 안정성 및 보안 향상


기업용 컨텐트

기업 고객들을 위한 업데이트:

  • Finder에서 분산파일시스템 공유(DFS Shares)를 브라우징 하는 성능을 향상
  • 특정 칼렌더 초청에서 잘못된 시간을 표시하는 문제 해결
  • 칼렌더를 사용하여 초청을 수락했을 때 모임의 주최자가 통보되지 않는 Microsoft Exchange 계정의 문제 해결
  • 사파리에서 NTLM 인증에 의해서 보호되는 사이트를 엑세스 했을 때 지속적으로 자격 인증을 물을 수 있도록 수정
  • 메일에서 Microsoft Exchange 계정들을 위하여 "Out of Office" 답신 일자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 추가

보안 컨텐트
보안 컨텐트 관련 자세한 정보를 위하여 Apple 보안 업데이트 사이트를 확인하세요.


'IT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바일 앱 시장은 정말 이미 포화상태인가?  (0) 2015.02.22
카드관련  (0) 2015.01.27
SoLoMo (Social, Location, Mobile) 마케팅  (0) 2015.01.27
Proximity Marketing  (0) 2015.01.27
Geo-Fencing  (0) 2015.01.27
Posted by 모바일헌터
2014. 9. 25. 13:45

도스 시절부터 써 왔던 미드나잇 커맨더 (mc)를 osx 에서 사용하고 싶어졌다.

Homebrew를 설치했다면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다

$ brew install mc

MacPorts를 설치했다면 다음과 같이 mc를 설치가 가능하다.

$ sudo port install mc


참고) midnight commander development center(바로가기)를 통해 소스 코드를 받고 바이너리를 직접 빌드할 수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현재 4.8.13의 최신 버전이지만 brew로는 4.8.12가 설치된다.


Posted by 모바일헌터
2014. 9. 14. 21:51

오늘 타이젠 스토어에서 메일을 받았는데 첨부파일에 zip파일이 포함되어 있는데 맥북의 Finder에서 기본 Archive Utility를 사용하여 압축을 풀었을 경우 확장자 cpgz파일이 생성이 되면서 압축이 풀리지 않네요.

그래서 터미널에서 unzip을 이용해서 다시 풀어보니 다음과 같이 제대로 압축을 풀지 못하네요.

$ unzip sample.zip 

Archive:  sample.zip
   skipping: file1.txt  need PK compat. v4.5 (can do v2.1)
   skipping: file2.txt  need PK compat. v4.5 (can do v2.1)
   skipping: file3.txt  need PK compat. v4.5 (can do v2.1)

PKZIP에 의해서 압축이 된 것이며 OS X의 경우 p7zip이 설치가 되어야 합니다.

homebrew를 이용하여 p7zip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 brew install p7zip

이제 압축을 풀어보시죠.

$ 7z x sample.zip

7-Zip [64] 9.20  Copyright (c) 1999-2010 Igor Pavlov  2010-11-18
p7zip Version 9.20 (locale=utf8,Utf16=on,HugeFiles=on,8 CPUs)

Processing archive: cert_20140904005815593.zip

Extracting  file1.txt
Extracting  file2.txt
Extracting  file3.txt

Everything is Ok

Files: 3

Size:              6166664
Compressed: 1930704


> homebrew를 설치하지 않으셨다면...

$ ruby -e "$(curl -fsSL https://raw.github.com/Homebrew/homebrew/go/install) 
==> This script will install:
/usr/local/bin/brew
/usr/local/Library/…
/usr/local/share/man/man1/brew.1

Press RETURN to continue or any other key to abort
==> /usr/bin/sudo /bin/mkdir /usr/local
Password:
==> /usr/bin/sudo /bin/chmod g+rwx /usr/local
==> /usr/bin/sudo /usr/bin/chgrp admin /usr/local
==> /usr/bin/sudo /bin/mkdir /Library/Caches/Homebrew
==> /usr/bin/sudo /bin/chmod g+rwx /Library/Caches/Homebrew
==> Downloading and installing Homebrew... 
remote: Counting objects: 195507, done.
remote: Compressing objects: 100% (52962/52962), done.
remote: Total 195507 (delta 141372), reused 195507 (delta 141372)
Receiving objects: 100% (195507/195507), 39.99 MiB | 2.16 MiB/s, done.
Resolving deltas: 100% (141372/141372), done.
From https://github.com/Homebrew/homebrew 
 * [new branch]      master     -> origin/master
HEAD is now at 860d5a7 tree: add mirror
==> Installation successful!
==> Next steps
Run `brew doctor` before you install anything
Run `brew help` to get started 


Posted by 모바일헌터
2014. 9. 14. 21:50

파인더에서 파일을 오픈할 때 파일의 확장자에 따라서 디플트 앱으로 실행이 된다. (물론, 설정이 되어 있어야 하며 설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선택을 할 수 있다.) 이 디폴트 앱을 변경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mp4파일의 경우, QuickTime Player가 Default app으로 등록되어 있다. QuickTime Player를 VLC로 변경해보자.

1. mp4파일을 보조클릭
2. "다음으로 열기" 선택
3. "기타..." 선택


4. default로 변경하고 싶은 어플을 선택한다. (만약 원하는 어플이 보이지 않는다면 "권장 응용프로그램"을 "모든 응용 프로그램"으로 변경하고 찾아보자.)
5. "항상 다음으로 열기"를 선택한다.

여기까지는 직관적으로 모두들 알고 시도를 하지만 문제는 전체 mp4파일에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5. 다시 한번 mp4파일의 보조클릭
6. "정보 가져오기"를 선택
7. 정보 다이얼로그에서 "다음로 열기" 영역에서 "모두 변경..."버튼을 선택하여 모든 mp4파일에 변경사항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하자.

이제 모든 .mp4파일의 default app은 VLC로 변경 되었다.





Posted by 모바일헌터
2014. 9. 14. 13:27

시게이트 외장하드를 구매할 때 맥북에서도 이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맥북 구매를 이제야 하게 되어서 확인 작업 들어갑니다.

시게이트 다운로드 사이트에서 Mac OS용 NTFS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하시면 됩니다. [다운로드 사이트 바로가기]


시게이트 홈페이지의 다운로드 사이트를 가시면 아래와 같이 Mac OS용 NTFS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다음의 EULA (End User License Agreement)에 동의를 하시면 

다운로드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Paragon을 설치하시고 나면 시스템이 재부팅되고 파일쓰기가 가능하답니다. 





Posted by 모바일헌터
2014. 9. 9. 23:26
윈도우에만 친숙한 사용자들이 맥을 사용하면서 어려워하는 것이 단축키의 활용입니다. 
일단, 키를 표시하는 특수 기호에 대하여 숙지할 필요가 있다.
  1. fn  fn (function)
  2. ^   control(Windows의 Ctrl key)
  3.   option (Windows의 Alt key)
  4.  command
  5.   shift
  6.   caps lock
기본적으로 알아두셔야 할 것
맥북이 출시될 때 Function(F1 ~ F12)키가 각키에 프린터 되어 있는 특별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기능들을 수행하기 보다는 기존 function key로 동작하고 특별한 기능을 위해서 fn + Function(F1~12) 을 사용하고 싶다면 시스템 환경설정(System Preferences)의 키보드 패널(Keyboard)에서 키를 해석하는 방법을 변경할 수 있다.
  • 한영 전환: command() + space bar
  • 어플 전환
    • 순방향 → : command() + tab 
    • 역방향 ← : command() + shift + tab or command() + `
      ※ command() + ` 은 아래 창이 나타난 상태에서만 동작한다.

  • [ command(⌘) + ` ] 어플 전환 & 창간 이동
    • Chrome이나 Office와 같이 한번에 여러 창이 열고 작업을 할 경우 같은 어플에서 창간 이동command() + `
  • 컴퓨터 시동
    • 전원버튼 클릭: 깨우기
    • 오른쪽 shift: 안전 모드에서 시동
    • 왼쪽 shift: 자동 로그인 방지
    • command() + R : OS X 복구 모드로 시동
  • 컴퓨터 종료
    • 전원버튼
      • 클릭: 잠자기 상태로 전환
      • 1.5초 길게 누르기: 재시동/잠자기/종료 대화상자 표시
      • 5초 길게 누리기: 강제로 전원 끄기
    • command() + control + 전원버튼: 강제로 재시동


알아두시면 편리한 기능들

    • 스크린샷 찍기
    • control + space bar: Spotlight 검색 필드 보기 => 여러언어를 동시에 사용 중이 아니라면 command() + space bar
    • command(⌘) + 쉼표(,): 응용프로그램의 환경설정 윈도우 열기
    • command(⌘) + Q: 응용프로그램 종료
    • command(⌘) + W: 윈도우 닫기 (응용프로그램이 종료되는 것은 아님)
    • fn + delete: back space 기능
    • fn + ↑: 한 페이지 위쪽으로 스크롤 (커서가 이동하는 것은 아니다)
    • fn + ↓: 한 페이지 아래쪽으로 스크롤 (커서가 이동하는 것은 아니다)
    • fn + ←: 문서의 맨 처음으로 스크롤 (커서가 이동하는 것은 아니다)
    • fn + →: 문서의 맨 마지막으로 스크롤 (커서가 이동하는 것은 아니다)
    • command(⌘) + ↑: 커서가 문서 처음으로 이동
    • command(⌘) + ↓: 커서가 문서 마지막으로 이동
    • command(⌘) + ←: 커서가 현재 줄의 처음으로 이동
    • command(⌘) + →: 커서가 현재 줄의 마지막으로 이동
    • option() +←: 커서가 이전 단어의 처음으로 이동
    • option() +→: 커서가 다음 단어의 끝으로 이동
    자! OSX 키에 좀 익숙해지셨나요?


    Posted by 모바일헌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