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15.01.23 [2015/01/23] 오늘의 기사 따라잡기
  2. 2014.10.09 과연 타이젠이 답일까?
2015. 1. 23. 12:44

삼성 텃밭 갉아 먹는 `애플`...한국시장 점유율 30% 돌파

아직까지도 한국의 안드로이드 점유율이 90%에 가까울 것이라는 것이라는 것은 착각이었네요 잘해도 70%? 엘지는 빤짝빤짝 작은별이었을까요? 14%네요.

삼성 원형 스마트워치 링다이얼 기능은?
코드명 '오비러스' : 차기 원형 스마트 워치라네요.

삼성전자 DS사업부 `최대치 성과급` 기대감 고조
 50% 수준이 유력하며 무선 사업부도 46~48% ㅠㅠ

MS "기존 사용자에게 윈도 10 무료 업그레이드"
‘제국의 역습’ 윈도10, 뭐가 달라졌나  
MS가 애플 따라하기에 동참? 윈도우즈10의 무료 업그레이드를 지원할 것이라고 합니다. 업그레된 기능 보다는 왜 무료 업그레이드가 더 관심이 있는 것일가요.

반신반의했던 `카카오 페이지`, 콘텐츠 결제 하루 매출 1억 돌파
  웹툰 & 웹 소설기반 서비스 오픈 1년 8개월 만에 매출 1억을 돌파했다는 점

로킷, 국내 최초 초콜릿 전용 3D프린터 `초코 스케치` 개발
아이들 목숨 살리는 3D프린팅의 세계
3D 프린터로 음식도 만들고 새 생명을 불어 넣을 수 있는 장기도 만들고 

하나금융, 캐나다에서 전자지갑 서비스 추진…한국형 핀테크 첫 해외진출

외환은행의 캐나다법인의 전자지갑 서비스 제공 

화웨이 `X3` 안 팔리자 한국서 `덤핑 판매`… 출고가 40% 가까이 인하
 5", 1920x1080, 69.5x139.4x7.6mm, 135g => 52만8천원에서 33만원으로 인하



'IT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소비형태  (0) 2015.01.27
Bank + IT의 결합 = FinTech  (0) 2015.01.27
스마트 TV  (0) 2015.01.22
Acer와 Sony의 스마트폰  (0) 2015.01.22
중저가폰 전쟁속에 "아이폰 미니" 출시설  (0) 2015.01.22
Posted by 모바일헌터
2014. 10. 9. 03:21
10월의 첫 새벽 IT기사들 중 눈에 들어온 것은 “삼성전자 구조조정 박차… 무선사업부 먼저 수술”이었다. 위기의 삼성전자가 사업을 정리하고 인력을 재배치 했다는 내용이며 그 중심에 독자 개발 OS(타이젠)의 언급이 있었다.  

그래서 타이젠에 대한 이야기를 몇자 적어보려고 한다.

2011년 9월 Linux Foundation에 의해서 발표된 리눅스 기반의 오픈소스 운영체제이다. 타이젠 운영체제는 스마트폰 플랫폼의 복잡한 이해관계가 얽힌 역사를 뒤로 하고 있다. 

타이젠의 주력 개발사인 삼성을 살펴보면 2007년 1월에 LiMo (Linux Mobile)의 회원사로 Linux Platform을 시작하였다.  그당시 리모의 주축개발사는, 일본 기업인 ACCESS였다.  2005년 구글이 안드로이드사를 인수하였을 때, 일본 기업 ACCESS가 2001년 Palm으로 부터 분사하여 OS를 제공하여 온 Palm Source를 인수하며 OS시장에 뛰어들었고 LiMo의 주축 개발사가 되었다. 그후, 2008년 내부사정에 의하여 삼성과 ACCESS는 결별을 선언하고, 삼성은 2009년 독자적으로 보다폰 360을 출시하였다.  하지만 리모의 성장을 이끌수는 없었으며 2011년 9월 LiMo 보드 미팅에 인텔을 초대하며 타이젠 그룹을 결성하게 되었다.  모블린의 인텔과 마에모의 노키아는 미고로 힘을 합쳤지만 노키아가 인텔을 버리며 어려운 시기를 맞고 있었기에 인텔과 삼성이 타이젠을 중심으로 뭉친 것은 당연한 결과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두 기업은 전혀 다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인텔은 아직도 Qt를 주장하고 타이젠은 Native보다는 HTML5를 이용한 웹앱쪽으로 중심을 옮기며 뭔가 매끄럽지 못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가 계속 지속되면서 타이젠의 성과가 지지부진 하고 삼성이 안드로이드 디바이스들을 중심으로 2012~3년 엄청난 성장을 이루었지만 안드로이드의 성장도 멈춘 지금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는데는 실패하였다면 타이젠을 고집하기 보다는 지금이라도 윈도우즈 폰을 생산하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Posted by 모바일헌터